연구주제와 논문작성 과정을 함께 고민하고 작성하는 동료가 있다면 힘든 논문작업이 조금은 수월해지겠지요.
논문을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도 모르게 또다른 성장이 있음을 알아차릴 것입니다.
으쌰으쌰, 서로서로 응원하고 지지하며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의 교육 모델인 <과학자-실무자 모델>에 한발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.
과학자-실무자 모델이란? <과학자-실무자 모델의 국내적용 가능성에 관한 논의, 안현의, 2003 참고>
연구 방법론에 나오는 용어들은 왜 이리 어려울까요?
연구방법론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논문을 구분하는 방법도, 읽기도 쉬워집니다.
각종 자격증 시험, 학위논문, 학회지 논문 작성시 연구방법론을 알고 접하는 것과 모르고 접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.
논문을 읽고 쓰는데 막막하지 않습니다.
연구방법론과 논문리딩을 동시에 공부하면서 연구자로서의 품격을 더해가길 바랍니다.
월요일반
제 목 : 학위논문 함께쓰기 프로젝트
대 상 : 연구 주제가 정해져 논문을 막 시작하는 상담전공 대학원생(선착순 5명)
기 간 : 2019년 1월 7일 ~ 2월 25일 (매주 월요일 오전10시~12시)
장 소 : 추후통지
비 용 : 21만원
준비물 : 자신의 연구자료
문 의 : bloominheart@naver.com, 042. 867. 4275
화요일반
제 목 : 연구방법론과 논문리딩
대 상 : 상담전공 대학원생(선착순 5명)
기 간 : 2019년 1월 8일 ~ 2월 26일 (매주 화요일 오전10시~12시)
장 소 : 상담심리연구소 마음에꽃피다
비 용 : 21만원
문 의 : bloominheart@naver.com, 042. 867. 4275
상담 운영 안내
저희 서문상담센터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.
상담적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께 죄송한 마음을 담아 다음과 같이 안내 드립니다. 내부적 상황으로 인하여 당분간 신규 상담 신청은 불가하오니 이 점 양해 말씀 드리며, 상담 진행 재개와 관련하여 조만간 다시 안내 하도록 하겠습니다. 양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